세상은? 미크는!

"학생들과의 소통에 있어서, 사최수프는 또 다른 세상을 열어줘요"

미크관리자
  • 조회1471
  • 추천2
  • 댓글0

 

더위가 채 가시지 않던 8월 말, 

사최수프 원정대가 대구 효성중학교를 찾았습니다.

 

최희식 선생님과 효성중 학생들이

등하교길에 있는 버스정류장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달음에 달려갔던 건데요, 

최희식 선생님의 사최수프 동아리에서는 버스정류장 문제 말고도

학교 근처 사거리의 횡단보도 문제 등

학생들이 직접 맞닥뜨린 세상의 '진짜 문제'들이 

여러 사최수프 물망에 오르고 있었습니다.

 

 

 

학생들은 진짜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한 문제당 'WHY?'를 5번 묻는 5WHY 활동이나,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는 이해관계자들을 헥사맵으로 그려보는 '이해관계자맵' 등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와, 문제의 진짜 원인을 찾고 있었습니다.

,


 

"선생님들, 사최수프 꼭 해보시기 바랍니다. 사최수프는 학생들과의 소통에 있어 또 다른 세상을 열어줍니다."

 

효성중학교 사최수프 현장서의 희식샘은 정말 행복해 보였습니다.

학생들이 열심히 문제를 찾고, 또 해결해가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면서. 

선생님은 아이들의 의견과 역할을 살피고, 

또 함께 해줄 수 있는 것이 없는지 세심하게 관찰하셨습니다:)

 

학생들 역시 그런 선생님의 마음에 감사를 느끼면서, 

각자가 해결고자 하는 문제에 아주 열심이었습니다.


 

최희식 선생님과 효성중 사최수프 학생들

사최수프 원정대가 영원히 응원합니다>_<

 

 



  • 조회
  • 추천
  • 주소복사

댓글 0개

파일올리기 (0 / )

개만 가능 하며,
문서, 이미지, 압축파일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음글 보기

관련 프로젝트

관련멘토

  • 김상훈1 (개발관계자!)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온라인 서비스가 필요할 일도 있을거에요.  홈페이지가 필요하다거나, 온라인 홍보물을 만든다거나, IT의 기술적 동향들에 대해 궁금할 때 제가 도움이 되겠습니다.    “ 온라인 / 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알고싶다. “ 이런 궁금증이 생긴다면 저를 멘토로 초대해 주세요.  그러면, 최선을 다해 도와드릴께요. 
  • 박성광 (충남-천안쌍정초-6학년) <선생님들께>   사최수프를 진행하다보면 '대체 어디서 어느 정도로 학생을 지원해야 할까?', '여기에서는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 의 고민을 하는 시기가 옵니다.   답은 없습니다. 학생들의 상황과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에 적합하게 대처하는 수밖에는요. 단, 학생들이 주도해야 한다는 사실 자체는 변하지 않습니다.   선생님의 고민을 공감해드리고, 제 의견을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고민을 공감하고, 경험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   <학생들에게>   사최수프를 진행하다보면 '이제 뭘 해야 하지?', '우리끼리 할 수 있나?'를 고민하는 시기가 옵니다.   먼저 겪은 선후배들의 사례를 들려줄게요. 여러 경험을 들어보면 배울 점이 있을 거에요.       “ 여러 사례를 들려드리겠습니다. “

세상은?미크는!

  • 세상은?
    [100up] 사상최대수업프로젝트 길라잡이&툴킷 배포 <사상최대수업프로젝트(사최수프)>는  학생들이 스스로 진짜 세상의 문제를 찾아내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지식, 정보, 자원을 동원해  해결해나가는 프로젝트 교육 방법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문제해결 지향교육 혹은  PSOL(Problem Solving Oriented Learning)이라고도 부릅니다. 그 목적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역량 성장입니다.  역량이란 미래교육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궁극적 목표로서 교과서 속 지식과 시험 문제가 아니라  진짜 세상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갈수록 변동이 심하고 복잡해지는 지금 세상을 살기 위해서는  정답을 기억하고, 맞추는 능력이 아니라 문제를 포착하고 해결함으로써  주도적으로 변화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훨씬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바로 창의적 인재, 체인지메이커, 기업가정신의 원동력입니다. 나와 우리가 겪는 문제를 포착하고  그 본질적 원인을 찾아내어, 정교한 문제정의로 이어가며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내 진짜 해결을 위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아이들은 21세기에 가장 필요한 능력인  <소통, 협력, 비판적 사고, 창의력 그리고 공감능력>과 함께 <지식, 기능, 태도와 가치관>을 놀라게 빠른 속도로 기르게 됩니다. 그런데, 이 좋은 교육 방법에도 함정이 많습니다. 선생님들도 익숙하지 않은 진짜 세상의 문제해결을  교실에서 아이들과 함께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죠.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미래 핵심역량 성장을 위한 가장 빠른 지름길” <사상최대수업프로젝트 길라잡이>!!! 무려 1년간 수십 차례의 워크샵을 거치며  미래교실네트워크의 모든 경험과 노하우를 녹여 담았습니다. 길라잡이와 함께 차근차근 한 발짝씩 나아가 보세요. 교실에 ‘사최수프’의 마법이 펼쳐질 겁니다. 미크가 응원할게요!   [ 사최수프 길라잡이 다운받기 : https://forms.gle/hd2hL4xaJJB9ZpdD6 ]       [이 활동은 카카오임팩트 100up과 함께 합니다.]
  • 미크는!
    [2018사최수프원정대] 우리 학교 운동장 트랙, 직접 뛰어 보고, 고쳐 그리고, 풀도 박고! 이번에 원정대가 찾아간 곳은 서울동구로초등학교, 성기백 선생님의 6학년 1반 교실이었습니다.  동구로초 아이들도 원정대가 찾아다녔던 사최수프 교실처럼, 본격적인 사최수프를 시작하기 전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  거꾸로교실로 아이들의 주도성을 키우는 동시에, 2학기에 시작할 사최수프를 연습하는 셈이죠! 5월 4일, 학교 운동회를 앞두고 있던 동구로초 6학년 아이들이 성기백 선생님과 해결할 문제는 바로바로~ "있으나 마나 운동장 트랙"  입니다. 동구로초 운동장의 트랙은 여느 학교와 다름 없이 라인풀이 박혀있었는데요, 풀이 다 닳아 잘 보이지 않아 운동회 계주경기를 하거나 하면 주자어린이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었죠. 뿐만 아니라 트랙 거리가 넉넉치 않아 주자 1명당 거리가 너무 짧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파일럿프로그램을 진행한 성기백선생님은,  6학년 수학의 원주율 단원을 "운동장 트랙 새로 그리기"에 적용했습니다.   수학시간에 배울 원주율을 이용해,  어떤 모양으로, 어떤 넓이로 트랙을 그리는 것이 가장 좋을 지 알아보는 활동입니다. 지름과 반지름, 원주 등 수학교과서의 개념을 아이들이 직접 운동장을 그릴 때 쓸 수 있겠지요?   수학을 공부하면서 함께 운동장을 찍은 위성사진을 참고했습니다. 아이들끼리 만든 운동장 트랙 지도를 들고 첫번째 운동장 트랙을 그렸습니다. 그리고 트랙이 괜찮은지 점검을 해 봐야죠!   그래서?   다같이  뜁. 니. 다. 수학과 체육을 접목해 운동장 문제를 해결하는! 원정대 눈에도 사최수프 맞습니다!! 그런데, 잠깐! 한큐에 문제가 해결된다면? 사최수프가 너무 재미 없겠죠? 여기서 동구로초 아이들은 새로운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트랙 경사가 너무 급해서 뛸 때 몸이 쏠려요. 위험할 것 같아요" 그래서 트랙을 다시 구했습니다. 경사도 완만하고, 트랙의 거리도 길어지는 최종 프로젝트 완성 고지가 눈앞에 있었습니다.     운동장 트랙이 넓어진 것이 한 눈에 보이죠? 그리고 최종점검! 다같이~ 뜁니다!!   길어진 트랙, 안정적 자세! 올림픽 계주선수들 부럽지 않은 팀워크!   네, 결과는 합격이었습니다.  마지막 단계는 새로 그린 운동장 트랙을 따라 라인풀을 모두 함께 심는 것입니다. 사회교과에는 모내기활동이 있다는데... 이거 수학+체육+사회 융합수업인가욧?!                         트랙을 완성한 동구로초 아이들!  파일럿 프로그램을 훌륭하게 끝낸 6학년 아이들과 성기백 선생님들이 2학기에는 어떤 기똥찬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원정대를 기다릴까요?   동구로초 아이들의 사최수프 이야기! 많이 기다려주세용~